"상용근로자 감소 일용직 크게 늘어"
경기침체는 실업률의 상승과 함께 고용시장의 구조에도 큰 변화를 몰고 오고 있다. 상용근로자는 감소하는 대신 일용 및 임시직이 크게 늘고 가사에 종사하던 여성이 취업전선으로 대거 나오는가 하면 사업주가 비용 절약을 위해 야근이나 특근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으로 일하는 시간이짧아지고 있다.
◇일용근로자가 늘어난다=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근로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만8천명(0.9%%) 감소한 반면 1개월 이상-1년 미만인 임시근로자는 21만명으로 5.6%%,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는 14만2천명(8.9%%) 각각 늘어났다.
◇취업시간이 짧아졌다=기업주들이 시간외 수당의 지급을 기피하면서 주당 54시간 이상 근무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29만9천명) 줄었다. 그러나 18시간 미만 취업자는 25.1%%(7만7천명)가 늘어난 38만4천명이었으며 18시간 이상 36시간 미만 취업자도 13.7%%(16만3천명)가 늘어 1백35만4천명에 달했다.
이에 따라 전체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도 지난 86년 4·4분기 이후 가장 낮은 50.9시간에그쳤다.
◇여성이 취업전선으로 쏟아져 나온다=남자의 경제활동참가율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을 보인 반면 여자는 지난해보다 20-24세가 1.6%%포인트, 25-29세가 5·0%%포인트, 30-54세가 2.2%%포인트 각각 상승하는 등 활발한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전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1.1%%로 지난해보다 1.9%%포인트 높아져 9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취업자에서도 여성의 증가세가 두드러져 남자는 11만4천명(0.9%%)이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여자는 이보다 3배나 많은 38만2천명(4.8%%)이나 늘었다.
◇신규실업자가 증가한다=직업을 구하지 않다가 구직에 나섰으나 일자리를 얻지 못한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1·4분기중 신규실업자는 29만명으로 지난해보다 60.2%%나 증가했다. 반면 다니던직장을 잃고 새로운 직장을 구하고 있는 전직 실업자는 35만5천명으로 지난해보다 29.6%%가늘어 신규실업자의 증가세에 못미쳤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