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년만에 80%%대로"
우리나라의 투자재원 자립도가 14년만에 80%%대로 뚝 떨어져 외채 확대의 주요 요인이 되고 있다.
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6년 총저축률(34.6%%)을 총투자율(38.6%%)로 나눈 투자재원 자립도는89.6%%에 그쳐 지난 82년의 84.4%%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투자에 비해 저축이 부족하면 그만큼 해외차입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투자재원 자립도가 낮을수록 외채가 더욱 늘어날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의 투자재원 자립도는 특히 일본, 싱가포르, 대만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지고 있다.
일본의 투자재원 자립도는 1백9.8%%(94년)며 대만은 1백11%%(94년), 싱가포르는 1백16.2%%(92년)로 세나라 모두 국내 저축으로 투자재원을 충분히 조달하고도 남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우리나라의 투자재원 자립도는 지난 88년 1백26.4%%로 최고를 기록한 후 씀씀이가 늘어나면서89년 1백7.1%%, 90년 96.8%%, 91년 92.3%%로 3년만에 무려 34.1%%포인트나 떨어졌다.이어 92년 94.8%%, 93년 1백%%로 다시 상승하는 듯했으나 과소비 확산으로 94년 97.8%%, 95년96.8%% 등으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