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9일 검찰의 한보수사결과 발표에 대해 검찰이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다면서도 여론의향방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이날 검찰의 발표가 국민의 깊은 불신을 씻기에는 미흡하다는 점을 시인하면서 "그렇지만 어쩔 수 없는 것 아니냐"는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앞으로 국회 국정조사가 남아 있는 만큼 미진한 부분들에 대해서는 국정조사를 통해 진상이 규명돼야 한다는게 청와대측의 대체적인 입장이다.
한 사정관계자는 "검찰이 추가로 2천억원대의 비자금을 찾아내는등 생각보다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며 "그러나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여 안타깝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95년이전에 대한 검찰의 수사가 미진하다는 지적에 "한보측이 수서사건과 노태우 비자금사건을 겪으면서 93년이전의 서류는 상당부분 파기했다고 한다"며 "정태수의 입에만 의존할수 밖에 없어 어쩔 수 없었던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검찰의 수사발표를 계기로 한보문제가 검찰에서 국회로 넘어오게됐다"며 "검찰이 이번 사건을 '부정부패와 비리의 표본'으로만 삼았지, 경제논리에 의거한 정책결정 과정 부분에 대해서는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대목은 불만"이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