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기조 후퇴 접점 찾기"
국민회의와 자민련등 야권이 대화재개의 수순을 밟고있다. 그러나 겉으로는 노동관계법등 날치기법안의 재심의 주장을 계속하는 등 강온전략을 병행하고 있다.
양당은 24일 반독재투쟁위원회를 열어 날치기 원천무효를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했지만 여야총무들의 조건없는 TV토론을 제의하는 등 내부기류는 대화 재개로 가닥이 잡혔다. 국민회의는27일 전국지구당위원장회의를 소집, 날치기법 규탄집회를 열기로 하는 등 대화재개의 명분쌓기에도 신경을 쏟고있다.
야권의 국면전환은 국민회의 김대중총재의 최근 행보에서 두드러진다.
영수회담을 '큰 진전'이라고 평가하면서 유화적인 태도를 보여온 김총재는 지난 23일 김수환추기경을 만나"원칙있는 대화를 통해 시국을 안정시키고 국민을 안심시키도록 노력하겠다"며 대화 재개의 말문을 열었다.
야권이 대화재개를 위한 다음 수순은 내주초로 예정된 양당총재와 각계원로들과의 시국수습을 위한 간담회다. 두 김총재는 오는 27일 여의도 63빌딩에서 서영훈, 고건, 이창복, 김승훈신부, 송자전연세대총장등 각계인사 10여명을 초청, 시국수습에 대한 의견을 나누기로 했다. 이같은 모임은김영삼대통령이 종교계 지도자들과 연쇄접촉을 가진 후 영수회담을 수용한 것과 닮았다.강경기조를 누그러뜨리지 않던 자민련 김총재도 대화기류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날 낮 전국지구당 사무국장들과의 오찬에서 "분명한 불법이라는 사실만 인정하면 여당체면을 위해 명분도세워줄 수 있다"며 날치기법은 놔두고 재심의해서 여야합의로 입법한 뒤 잘못된 것은 폐기하면된다고 말했다.
날치기법안의 재심의가 전제되지 않는 여야대화는 거부한다던 야권의 완강한 태도도 변했다. 야권은 여권이 날치기의 불법성을 인정하는 최소한의 성의를 보이면 이를 대화재개의 계기로 삼겠다는 선까지 물러섰다. 즉 날치기에 대한 유감 표명과 재발방지를 약속한다면 더이상 재심의를고집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자민련 이정무총무도"신한국당이 날치기법안의 재심의 주장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면 불법을 시인하는 정치적 결단을 내려야 한다"며 대화재개의 접점이 절충되고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
여야는 노동관계법 등의 재개정 작업을 날치기 법안들의 발효시점인 3월1일 이전에 마무리해야한다는 데도 공감하고 있다. 따라서 여야는 빠르면 내주중반 협상테이블에 마주앉아 2월 임시국회소집과 날치기법안의 재개정 방안을 논의하겠지만 적지 않은 진통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徐明秀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