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북구 복현동 골든프라자 지하벽 붕괴사고로 연립주택 16가구 주민 60여명은 한겨울에 보금자리를 잃고 차가운 길바닥으로 내몰렸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자칫 대형 재난으로이어질 뻔한 결코 작지않은 사고였다.
사고 다음날인 19일 낮12시. 북구청은 오피스텔 1층 식당에 대책본부를 설치했다.그러나 건축주나 시공자, 감리자 등 현장상황을 설명해줄 사람은 사고후 10여시간이 지나도록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원인을 묻는 주민들에게 북구청은 이날 오전 다녀간 토목공학 교수와 대구시 건설협회 관계자의 추정에 따른 설명만 되풀이했다.
20일 오전 임시 가설된 전원이 오피스텔 지하층으로 들어와 사고원인 조사가 가능했다. 하지만 지하층 출입을 통제한 사람은 대책본부나 경찰이 아닌 시공회사인 서광산업 직원들이었다.
사고원인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은데다 주민들이 부실공사가능성을 끊임없이 제기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고현장 출입을 시공회사에 맡긴 북구청의 조치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서광산업 직원들은 지하층으로 들어가려는 취재진에게 "대책본부장인 구청장 허락도 필요없다.지하층에 들어가려면 우리회사 상무님께 물어보고 오라"는 등 기세가 등등했다. 붕괴사고를 낸 죄스러움은 눈씻고 봐도 찾을 수 없었다.
더더욱 기막힌 일은 북구청이 사고발생 이틀도 되지 않은 20일 오후 대책본부를 구청으로 옮겨버린 것이었다.
북구청측은 "이제부터는 안전진단팀과 시공회사가 알아서 해야지 구청이 할 일은 없다"고 밝혔다.연립주택 한 주민은 "시공회사에 사고현장 보존을 맡겨버리면 사고원인 조사가 제대로 되겠느냐"며 "행정당국이 저렇게 무책임하니 부실공사가 끊길리 있느냐"고 비난했다.
이번 붕괴사고에서 북구청이 한 일은 주민들에게 구호금 몇푼 집어준 것외에는 아무것도 없었다.〈金在璥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