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록직기 섬유구조개선의 '뜨거운 감자'

입력 1997-01-09 00:00:00

무등록직기가 지역섬유업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업계는 구조개선사업의 하나로 과잉시설의 축소를 결의하고 이를 위해 내주중 직기실태조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그러나 업체별로 직기등록증을 확인해 무등록직기를 파악해야될지, 단순히 시설규모만 조사해야될지 골머리다.

무등록직기가 적발될 경우 해당업체의 처벌은 물론 등록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각 지방자치단체의업무소홀과 관련 일대 파문을 몰고 올 것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무등록직기는 무등록공장뿐만아니라 오히려 대형업체를 포함 기존 업체에도 상당수 있다는 것이업계의 공공연한 얘기다.

따라서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견직물조합, 직물조합, 대구시, 경북도 관계자로 구성된 실태조사팀이 과연 이같은 파문을 무릅쓰고 무등록직기에 대해 '메스'를 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현재 업계와 대구시는 대구경북지역의 워터제트룸 직기가 5만대로 이는 적정규모보다 1만3천-1만5천대 초과한 규모로 파악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역내 워터제트룸이 4만2천대라는 추정도 나오고 있다.

어쨌든 4만2천대-5만대라는 업계의 직기대수 추정치는 행정당국에 등록된 3만3천여대(작년자료)를 훨씬 넘는 규모다.

결국 1만여대의 무등록직기의 존재에 대해 업계는 물론 대구시도 인정한 것이다. 업계에 따르면무등록직기의 양산배경은 지난 86년부터 시행한 직물합리화사업의 추진과정에서 발생됐다. 한동안 리스로 도입한 직기에 대해 등록이 되지않는 등 직기등록과 관리에 문제점이 발생했던 것이다.

이와관련 업계 일각에서는 "자금을 들여 직기를 폐기 할 것이 아니라 무등록직기부터 찾아내 가동을 중단시킨다면 생산물량은 저절로 조절 될 것이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