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 특히 성리학은 조선왕조 5백년 동안 조선사회를 지속적이면서도 조직적으로 지배한 학술사상이자 정치이데올로기였다.
인간의 본성과 사물의 본질 등을 둘러싼 팽팽한 논쟁과 갈등, 그 결과에 따라 파생한 학맥과 사상을 정리한 '조선유학의 학파들'(예문서원 펴냄)이 출간됐다.
윤시순 고려대교수가 설립한 한국사상사연구회(회장 유초하 충북대 교수)와 소속학자 22명이 펴낸 이책은 조선시대 각 학파와 사상, 유학의 전체상과 흐름을 독자들이 알기쉽게 압축했다.유초하(충북대), 이종태(공군사관학교), 정대환(전북대), 홍원식(계명대), 윤천근(안동대), 이상호(경산대) 등 22명의 교수가 조선초 관학파에서 한말의 개화파에 이르기까지 22개 학파를 조명했다.세계 학계에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 퇴계학파와 율곡학파를 비롯해 그동안 연구가 미진했던 관학파, 화담학파 등을 소개하고 있다.
'조선성리학의 이론적 정초-관학파'에서 정도전 하윤 등 조선건국후 체제의 주역이 된 관학파들은 조선내내 객관적 보편적 선험을 이루게 하는 틀이 됐지만 후세 학자들이 정몽주 등의 절의파를 택함으로써 정통에서 제외됐다고 지적했다.
논문 '기론과 도학정신의 융합-화담학파'에서는 유물론자 또는 자연철학자로 불려지는 서화담의이기설과 함께 제자인 박순 이지함 등이 펼쳤던 현세중심의 유교관을 소개하고 있다.86년이후 매년 두차례 공동작업의 연구결과로 '사단칠정론'(82년) '인성물성론'(94년)을 출간했던사상연구회는 98년까지 각 학파의 사상을 독립된 책으로 출판할 계획이다. 〈李春洙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