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비 주민에 떠넘겨"
공공택지 조성 사업시 각 지방정부가 부담하도록 되어 있는 공공시설물 설치 규정이 사문화되면서 입주민들에게 떠넘겨지는 공공시설물 설치비가 갈수록 증가,땅값 상승은 물론 택지 분양가 산정 근거조차 뒤흔들고 있어 법적인 규제 및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
현행 주택개발촉진법은 택지 조성 사업시 택지 지구에서 2백m 이상 벗어난 도로나 상하수도등공공시설물(간선시설)은 각 지자체가 지방비나 국비로 건설하도록 규정하고 있다.그러나 각 지자체는 재원부족을 핑계로 규정을 훨씬 벗어난 공공시설물의 설치비까지 땅값에 얹어 결과적으로 입주민에게 부담시키고 있으며 정부도 이를 묵인하고 있다.
북구 칠곡지구의 경우 사업시행자인 토지공사가 대구시의 요구로 택지지구 인근 지역 도로 6㎞의개설비로 모두 5백 20억원을 입주민에게 부담시켰다.
또 도시개발공사도 달서구 상인지구에서 앞산순환도로 개설비 3백억원과 범물지구에서 범물~안심간 도로 개설비 1백96억원을 택지 분양가에 포함시켰으며 대곡,성서지구등에서도 공공시설 설치비를 입주자들로부터 거둬들였다.
이처럼 공공시설물 설치비를 입주자들에게 떠넘기는 현상은 전국 각 택지사업지구마다 일어나고있으며 따라서 공공시설물 설치 규정도 사문화되고 있다.
이에대해 토지공사의 한 관계자는 지방 정부가 공공시설물 설치비를 무리하게 분양가에 포함시키면서 입주자의 부담이 늘고있는 것이 사실 이라고 인정하고 이때문에 분양가 산정 근거조차흔들리고 있다 고 밝혔다.
또다른 관계자는 시설부담 한계를 명확히 하지 않아 지방 정부마다 공공시설물 설치 범위를 무리하게 확대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 결과적으로 부동산값의 상승을 부채질 하고 있다 며 법적인 규제.보완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