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홉킨스大 휄튼박사 조사결과 밝혀"
혈압강하제를 복용하고 있는 노년기의 고혈압환자는 체중이나 염분섭취를 줄이면 약의 복용을 중지해도 될만큼 혈압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폴 휄튼 박사는 최근 미국심장학회(AMA) 연례학술회의에서 발표한 보고서에서 체중 또는 염분섭취를 줄인 60~80세 고혈압환자 9백75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결과 이같은사실이 밝혀졌다고 말했다.
이들중 약 45%%는 혈압강하제의 복용을 중단해도 좋을 정도로 혈압을 낮추는데 성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생활습관의 변화는 가능하며 이러한 변화를 지속하는 한 고혈압환자가 혈압강하제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
휄튼박사는 이들은 체중이나 염분섭취를 줄이기 시작한지 3개월만에 혈압강하제 투여를 중지했으며 체중감소쪽을 택한 환자는 3.5~4.5kg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또 체중과 염분섭취 줄이기를 한꺼번에 시도한 환자중 두가지중 한가지만 택한 사람보다 더 큰효과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휄튼박사는 이번 조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이른 감이 있지만 체중-염분섭취감소의 효과를확인함으로써 생활습관을 바꾸면 고혈압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