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태국 사회의 엘리트층 형성"
한국전 때 유엔군의 일원으로 미군에 이어 두번째로 많이 참전한 태국 군인들이 오늘날의 태국사회의 엘리트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이 가운데 지난 71년 이후 정부수반인 총리 3명을 비롯부장관을 포함하여 각료급 이상만 20여명이 배출됐고 지금까지 장성계급장을 단 인사는 1백78명에 달하는것으로 집계됐다.
태국 국방부 산하기관으로 퇴역 고위장교 위주로 조직돼있는 태국재향군인회와 한국참전 퇴역군인들의 모임인 한국참전협회가 한국참전 출정기념일(10월22일:참전을 위해 최초의 태국군부대가방콕항을 출발한 날로 태국은 매년 이날을 기념하고있음)을 앞두고 1일 잠정 집계한 파한(派韓)장교단 현황 에 의하면 참전용사 중 총리가 된 군인은 타놈 키치카촌, 크리엥삭 차마논, 차티차이춘하완 장군등 3명이며 이밖에 부총리 5명, 국방장관 4명을 포함 부장관급 이상 각료가 20여명에달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재도 참전군인 중 차왈릿 용차이윳, 솜분 라홍 등 두 예비역 장군이 각각 부총리로 재직중이며 차티차이 전총리(예비역소장)는 차트파타나당 당수로 활약하고있다.
또한 참전용사중 장성이된 사람은 일부 사망자를 포함, 육군 1백58명, 공군 12명, 해군 8명 등 모두 1백78명이며 대령은 3군을 합쳐 4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들 군인중에는 대장급 국방사무차관 3명, 최고사령관 2명, 육군사령관6명, 공군사령관 1명 등 한국의 각군 참모총장급 이상에 해당하는 인사만도 12명이 배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 많은 뉴스
"李, 기어이 국민 역린 건드리나"…조국 특사명단 포함에 野반발
조국·정경심 이어…'위안부 횡령' 윤미향도 특사 대상 포함
김문수, 전한길 토론회서 "尹 전 대통령 입당, 당연히 받아…사전투표 제도 없앨 것"
'전대 소란' 논란에... "전한길, 모든 전당대회 출입 금지"
"배신자" "음모론자" 두 쪽 나버린 국민의힘 대구경북 합동연설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