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하수도보급률 전국최저

입력 1996-08-21 00:00:00

"녹조.적조 발생 원인"

충남, 경남.북, 전남 등의 하수도 보급률이 매우 저조해 생활하수가 그대로 하천이나 바다로 유입, 적조와 녹조의 원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환경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하수도 보급률은 평균 45%%로 이는 서울을비롯한 대도시 지역에 편중돼 있으며 충남, 경남.북, 전남 등 해안지역은 전국평균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특히 전남은 하수도 보급률이 고작 2.1%%에 불과해 전국에서 가장 낮았으며 이어△충남 12.6%% △경북 13.9%% △전북 16.1%% △경남 19.4%%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서울은 하수도 보급률이 75.4%%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산(38.9%%)을제외한 경기 56.9%%, 대구 56%%, 광주 54.6%%, 대전 51.6%%, 인천 46.7%% 등 대도시도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이처럼 해안지역의 하수도 보급률이 낮은 것은 그동안 정부의 맑은 물 공급종합대책 에 따라 내륙의 상수원 지역에 대해서만 하수도 시설이 집중 투자됐기 때문으로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하수도 보급률은 하수처리 인구수를 전체인구수로 나눈 것으로 이는 곧 하수처리율과 같다 며 현재 대청호와 낙동강의 녹조현상도 충북과경북지역의 하수도 보급률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 고 말했다.

현재 하수처리장 및 하수관 등 하수처리시설은 서울을 비롯한 광역시의 경우자체 재정에서 충당하고 도청소재지 및 각 시.군은 중앙정부에서 50~70%%를 지원해 주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