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 원인은 공공서비스 요금

입력 1996-08-10 14:16:00

"물가상승을 압박하는 가장큰 요인"

올들어 지난 7월말까지의 소비자물가 상승률(4.2%%)이 연간 억제선인 4.5%%에 바짝 다가서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한 것은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공공서비스 요금인 것으로 나타났다.10일 재정경제원에 따르면 7월말 현재 공공서비스요금은 작년말 대비 7.8%%가 올라 물가상승 기여도가 1.37%% 포인트에 달해 소비자물가를 구성하는 7개 부문중 물가상승을 압박하는 가장 큰요인으로 분석됐다.

또 농.축산물이 연초 이상저온에 따른 작황부진으로 작년말보다 5.1%%가 오르면서 물가 기여도가0.94%% 포인트를 기록했고 개인서비스 요금은 이.미용료, 목욕료, 외식비의 꾸준한 상승으로 4.6%%가 올라 물가 기여도는 0.78%% 포인트로 나타났다.

공산품의 경우는 정부의 지속적인 가격인하 유도로 1.7%% 오르는데 그쳐 물가 기여도가 작년 동기의 0.77%% 포인트에서 0.55%% 포인트로 낮아졌으며, 전.월세는 2.2%%가 올라 0.26%% 포인트의 물가기여도를 나타냈다.

올들어 이뤄진 공공서비스 요금 인상 내역을 보면 중앙정부가 7월1일부터 담배에 1백84원의 교육세를 새로 부과하면서 담뱃값이 갑당 1백~3백원 올랐고 서울, 부산, 강원, 대구, 광주, 대전, 인천등의 지방자치단체는 시내버스요금을 9~12%% 인상했다.

또 대구, 경기, 대전, 경북, 경남, 전북, 강원도 지역은 택시요금이 9~10%% 올랐으며 쓰레기봉투값,상.하수도료 인상도 줄줄이 이어졌다.

이와 함께 국립대의 수업료 및 입학금 5%% 인상과 함께 사립대, 전문대, 중.고교의 수업료도 물가상승을 압박했고 중.고교 교과서가 14.9%% 인상돼 가계에 주름살을 더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