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영화를 통해 심리학적 현상을 설명하기 좋아한다. 사람들은 4년전 아카데미상 수상작이었던양들의 침묵 에 대해 여러가지로 이해하는 것 같다. 피랍자를 구하는 FBI요원 클라리스(조디 포스터)의 활약, 정신병자의 이야기등. 내 생각에 그 영화는 첫기억의 중요성과 그것이 삶에 미치는영향을 다루고 있다.
어린 클라리스는 시골 친척집을 방문했다가 도살 전날밤 두려워 우는 불쌍한 양들을 보았다. 그녀는 단 한마리의 양이라도 구하려고 양을 업고 춥고 깜깜한 밤길을 온 힘을 다해 달린다. 그러나, 작고 약한 그녀에게 양은 너무 무거웠고 그녀는 지쳤다. 결국, 한마리의 양도 살리지 못한채깊은 무력감에 빠진다. 그녀는 이 무의식적인 무력감을 극복하기 위해 누군가를 구하는 일 에전념하여 필사적으로 노력한다. 이 노력은 그녀의 삶의 태도를 결정한다.
잠시 첫기억을 떠올려 보자. 그것은 밤길을 같이 거닐며 별을 헤던 아버지, 또는 나를 쓰다듬던어머니의 따뜻한 손길일 수 있지만, 반면 나를 두렵고 억울하게 한 부모님이거나 형제간에 차별받아 속상했던 것일 수도 있다. 전자같은 좋은 기억이 많으면 사람은 주위환경과 타인에 대해 편안하게 느끼며 자신의 자녀들에게도 그런 기억을 만들어주려고 한다. 그러나 후자처럼 두렵고 쓰라린 기억이 많을 때 사람은 자신이나 자녀에게 다시는 그런 경험을 하지않게 하려고 필사적으로노력하지만 별로 성공하지 못해 좌절감을 느끼고 심하면 부작용 현상이 생긴다. 이렇듯 첫 기억은 사람들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
우리는 조금만 노력하면 자녀들에게 좋은 기억을 남길 수 있다. 오늘 자녀들에게 따뜻한 기억으로 남을 만한 일들을 한가지씩 해보자. 그들이 커서 마음 든든함을 느낄 수 있도록 말이다.〈계명대 전임강사.교육학〉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