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천공단 특위-대구시의회.사회단체 간담회

입력 1996-06-06 14:54:00

"釜山.慶南반대 說得필요"

부산 경남의 저항에 부딪쳐 장기표류하고 있는 위천국가공단 지정의 조기해결을 위해 범시민적여론조성과 적극적 대응자세의 공론화가 절실하다는 각계의 소리가 높다.

이같은 자성의 소리는 5일 대구시의회 위천국가산업단지 조성 특위가 대구지역 시민단체 학계 상공계 환경단체 등의 인사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분출, 참석자들은 앞으로 부산 경남권의 조직적반대 활동에 대해 각급 대화채널을 총동원한 설득전을 펼치기로 의견을 모았다.YMCA 전호영 사무총장은 대구시 수질보전 대책은 완벽한 수준이다. 의심나면 양 지역 시민단체들이 공동으로 수질 모니터 활동을 펴면 문제없는데 부산 시민단체의 위천공단 절대반대는 설득력이 없다. 대구의 시민단체들이 연대해서 부산 경남의 단체들과 대화하면 진전이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영남대 공장표 교수는 위천공단은 대구가 살길을 찾는 것이다. 여기에 행정부서 시의회 사회시민단체가 따로 있을 수 없다. 합심해서 전문 영역별로 대응전략을 정리해 부산사람들을 설득해야한다 고 말했다.

대구상의 채문식 조사부장은 대구경제의 회생은 위천공단 지정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 시민단체 중에는 환경오염 문제를 반신반의할지 모르나 경제력을 키우지않고 공단폐수를 맑게할 수없다. 대구의 각 단체들이 이같은 점들을 부산쪽 카운터파트를 통해 공감대를 조성해야한다 고주장했다.

환경대학 최동원 고문은 홍보력이 약하다. 먼저 우리 지역민 부터 위천공단의 국가공단 지정 문제를 소상히 알고 대처해나가야 한다 고 말했다.

계명대 김수원 교수는 환경부 관계자로부터 대구는 부산과 달리 시민여론단체에서 위천공단에관한 아무런 자료도 보내지않고 의견개진도 없다는 얘기를 들었다. 우리지역은 학계와 전문가의지원사격도 없다. 부산지역에 대한 대응전략을 세워 적극적으로 밀고 나가야 한다 고 주장했다.한편 환경부는 내일(7일) 위천국가공단 관련 3차 수질평가자문단 회의를 열어 수질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金成奎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