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는 빈틈 없이 지키는게 옳으냐 그르냐, 도시민이 살아가는데 없어서 안될 허파라 하지만 그속에 세포를 제공하고 있는 땅주인의 심정은 어떨까. 한때는 서슬이 시퍼런 정부가 이 잡듯이 불법행위를 단속하나 얼마 못가 유야무야. ▲80년부터 94년까지 서울여의도 크기의 26배가 되는 2천3백만평이 각종 공공시설물 건설로 훼손됐다고 당시 국회에 제출된 정부의 자료는 밝힌바있다. 보전에 앞장서야 할 정부가 되레 훼손에 앞장선다는 비난이었다. 도로 철도 상하수도 전기통신시설등 해야할 일은 물론 많겠지, 하지만 그 시설을 위해 아까운 허파세포가 하나둘 죽어간다. ▲반면에 그린벨트 보전때문에 소유권 행사가 묶인 사람들의 요구도 드세다. 개인의 재산을이렇게 오랫동안 잡아둘수 있느냐는 항의며 보상하거나 당장 풀라고 고함친다. 이럴때 정부는난처하다. 환경 보전을 하면서 최대한 효율을 높이는 방법 을 찾는다지만 그게 쉽지않다. 그래서정책은 언제나 단속강화 와 규제완화 가 반복되고 특히 각종선거 전후가 심하다. ▲건교부는내년 3~4월께부터 그린벨트에 취락정비지구 를 별도로 지정해 75%% 주민의 생활편의를 크게 개선할 것이라고 한다. 그런 골자의 도시계획법 개정안을 오는 9월 정기국회에 상정한다는 것이다.이렇게 되면 그린벨트관계법 개정이 무려 50회에 가깝다. 법보다 더 아쉬운 것은 환경보전을 위한 국민들의 의지가 아닐까.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