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존재 내면 근원적 탐색"새로운 감성으로 존재의 내면을 탐색해 90년대 작가로 각광받고 있는 윤대녕씨와 김미진씨가 장편소설 추억의 아주 먼 곳 (문학동네 펴냄), 우리는 호텔 캘리포니아로 간다 (민음사 펴냄)를 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윤대녕씨(34)의 추억의 아주 먼 곳 은 젊은 남녀의 만남과 헤어짐을 특유의신비스럽고 몽환적인 분위기로 그리고 있다. 한 여인(권은화)의 돌연한 실종을중심으로 전개되는 일련의 사건들은 현실 속의 개인의 존재 방식들이 얼마나낯설고 위험스러우며 위태로운 것인가를 드러내준다. 일치되지 않고 분리되는자아와 그것의 그림자, 늘 어긋나고 빗나가는 인연, 긴밀한듯 하면서도 허술하고 느슨한 현실의 인간적 유대등 사막같은 삶 의 단면들이 독특한 분위기로자리잡고 있다. 과거라는 시간의 중심으로 향하는 여행에서 잊혀진 본래의 자아를 상기시키고, 존재의 근원과의 조우로 진정한 나 의 회복을 시도하고 있는이 소설은 서정적이고 환상적인 문체와 섬세한 이미지를 통해 삶의 원형과 존재의 내면을 탐구해 나가는 작가의 일관된 주제의식이 밑바탕에 깔려 있다.
90년 문학사상 신인상으로 등단한 윤씨는 소설집 은어낚시 통신 , 남쪽 계단을 보라 와 장편소설 옛날 영화를 보러갔다 를 잇따라 발표, 90년대 대표작가로 급부상했다.
김미진씨(33)의 두번째 장편소설 우리는 호텔 캘리포니아로 간다 는 실수로친구의 눈을 멀게 하고 미국으로 도망쳐 십여년간을 불우하게 살아온 한 기타리스트가 다시 음악을 찾기까지의 과정을 시점을 바꿔가며 그려내고 있다.
이 소설의 형식적 특징은 퍼즐 맞추기를 연상시키는 다중 화자 기법, 즉 한 시점을 고정시켜 두고 다중 화자가 겪는 각각의 사건들을 그 시점에 집중시켜 독자가 그 시점을 머릿속에서 재구성하도록 하는 포스트모던 소설 기법을 차용하고 있는 점. 이 소설에 등장하는 네 화자(현재의 유진, 조나, 과거의 유진, 기타)는 각각 자신의 시간대를 살아가지만 조나의 생일날 밤 자정에 죽음과 부활의경험을 한다.
단국대에서 서양미술사를 강의하고 있는 김씨는 95년 봄 장편 모짜르트가 살아 있다면 을 발표, 문단의 화제를 불러일으켰다.
〈申道煥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