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제1부속실장의 역할은 대통령이 조깅후 아침식사 하고 출근 할때까지시중드는 일과 관저 관리, 잔 심부름등을 하는 일이라 한다. 대통령의 측근으로옛날로 치면 영락없는 청지기 꼴이다. 이런 사람이 청와대에 들어간 초기에는매일 1억원씩 집에 돈을 갖고 오고, 쓰레기 통에서 1천만원이 든 돈봉투를 볼만큼 갑자기 흥청거렸다니 과연 권력이 좋긴 좋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도 자신이 생명보다 귀하게 모시는 金泳三대통령이 개혁의 기치를 들고 司正의 태풍을몰아치던 93년4월부터 95년9월 사이였다니 막말로 세상에 믿을× 하나도 없다는 말이 꼭 맞을것 같다. ▲우리는 그동안 설마설마 하면서도 행여 대통령은깨끗해도 측근 인사들이 돈을 밝히는것이나 아닐까 했던 의구심이 사실로 드러나는것을 지켜보면서 公職 이 大權당선자가 떡주무르듯 하는 전유물이 되는것이 바람직한가 하는 의구심을 새삼 갖게되는 것이다. ▲美國의 경우 大選 당선자가 갈아치울수 있는 굵직한 감투가 2백70여개라 한다. 그러나 대통령이 추천한 인물에 대해 인사청문회를 열어 시시콜콜 까발려 적합성을 검증 받기때문에문제가 적다. ▲우리도 국회 동의 절차등이 있지만 형식적이고 대통령의 의중대로 되기 마련이다. 그러나 아무리 인사권이 대통령 고유 권한 일지라도 고위공직은 제도적으로 검증장치를 거쳐 임명돼야할 것이다. 대통령의 家臣일지라도 公職에 앉는 순간 국민의 공복 이 되기 때문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