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종합과세제 실시가 채한달도 남지 않아 이달 중순경이면 은행과종·투금사등의 '뭉칫돈'이 증권및 보험등으로 본격 유입할 것으로 보이자지역에서는 자금역류및 중소기업 자금난 심화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지역 금융권에 따르면 내년 1월 '종과세' 시행으로 거액 금융소득에 대한세금중과와 자금출처 조사가 뒤따라 이를 회피하기 위한 '뭉칫돈'이 이달중순이면 본격 이탈할 것으로 보인다.특히 '뭉칫돈'은 은행과 종·투금사및 서민금융기관인 상호신용금고등에서주식및 보험으로 쏠릴 것으로 보여 8조원(금융기관 예대차액)을 웃도는 대구·경북지역 자금의 역외유출이 가속화할 조짐이다.
또 제1금융권에서의 자금이탈 규모가 커지면 은행의 대출여력 감소로 간접금융에 주로 의존하고있는 지역 중소기업들에 자금난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것으로 관계자들은 풀이하고 있다.
게다가 부동산실명제를 앞두고 있지만 일부 거액자금은 부동산으로 유입돼투기자금화 할 가능성도 없지않은 실정이다.
지역상공계와 금융권에서는 △지역자금역외유출 방지 △종합적인 중소기업지원등 '종과세' 부작용 최소화를 위한 정부와 지방의 연계대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은행과 뭉칫돈이 많은 종·투금사등 예금을 인출하려는 고객들에게 '종합과세를 피하는게 능사가 아니다'고 홍보하며 수신고 유지에 골몰하고 있고 상호신용금고·신협·새마을금고등도 자금흐름을 주시하며 대책마련에 분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