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도들에게 히포크라테스 선서가 그러하듯이 법학도들에게도 일평생 마음에 새겨두는 계율이 있다.'하늘이 무너져도 정의는 세워라'
그 법언(법언)이 입문하는 법학도들에게는 명쾌한 것 같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애매하게 느껴진다.
정의를 세우는 일을 누가 마다 하겠는가 마는,그 정의라는 것이 무엇이며, 어떻게하면 세워지는 것인지 정말 어렵다.
'각자에게 각자의 것을 주는것'으로 표현되는 정의개념이 전통적 가치체계가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명확할 것 같다. 그러나 우리네처럼 전통적 질서가붕괴되고 새로운 윤리규범이 자리를 잡지 못한 사회에서는 각자의 몫을 정하는 일 자체가 난제이다.
법은 흐르는 물같다고 하지만, 낙동강 물 하나를 두고 상류의 대구사람 몫과 하류의 부산사람 몫이 같지 않고, 한약방과 양약국의 몫을 두고 온갖 갈등을 겪는 것이 현실이다.
사정을 더 나쁘게 몰고가는 것은 위정자들의 한심한 발상이다. 무슨 정의구현사회니 하면서 제멋대로 법과 정의를 짓밟기가 일쑤였으니 말이다. 그래서 세상이 바뀌고 나면 정의를 입버릇처럼 내세우던 사람이 파렴치한 짓은도맡아 한 것으로 드러나고.
하지만 곱씹어 보면 그 모든 것이 너무 덤벙대며 정의에 접근하려 한 때문이 아니었을까. 제대로 된 사회이면 하늘이 무너질 리도 없고, 또 어쩌먼 하늘이 무너져 내려도 세워야할 정의라는 것이 없는지도 모를 일이다. 세상만사가 모두 상식과 평심(평심)에서 비롯되는데 말이다.〈변호사〉
댓글 많은 뉴스
삼성 라이온즈의 '아픈 손가락' 최충연과 양창섭, 기지개 켜나
"커피도시 부산"…부산시, 월드커피챔피언 3인과 부산형 커피 음료 만든다
의성군, 산사태 특보 기준 통일·대응 강화
[속보] 특검 "추경호, 계엄 직후 尹뿐 아니라 한덕수와 통화"
[TV] 낯선 땅으로 건너온 조선인의 생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