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 경주통과구간의 노선확정이 논란을 빚고 있는 가운데 정부해당 부처간에 당초 3·5㎞로 돼있던 지하화 구간을 12㎞로 연장하는 방안을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노선논의가 새국면을 맞고 있다.건설교통부에 따르면 고속철도 경주구간(31·5㎞)이 현 확정노선이든 우회노선이든 문화재 훼손이 불가피하다는 학계 지적에 따라 금장-동국대앞-서천간 3·5㎞로돼있는 지하화 구간을 금장-경주시 내남면 이조리까지 12㎞로 연장하는 방안을 협의중이라는것.
이같은 연장방안은 이미 확정된 노선으로 할 경우 문화재 훼손이 심하고경주시가지에서12㎞ 떨어진 우회노선을 택할 경우 이 지역 일대가 고속도로국도 철도등이 밀집돼 고속철도를 부설할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제시된데 따른 것이다.
우회노선은 또 하천을 끼고 있어 역사건립에 어려움이 많고 금척고분등문화유적지의 훼손 시비를 불러올 수 있다는것.
따라서 경주남산 경관 훼손을 막고 문화재 보호라는 당초 취지를 살리기위해서는 12㎞를 지하로 통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그러나 지하화 구간을 확대할 경우 소요예산이 크게 늘어나게 돼 이 부분에 대한 정부 대책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고속전철 경주통과구간 확정노선의 문화재 정밀조사를 의뢰 받은 경북대 박물관 이백규관장은 '경주를 경주답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경주통과를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관장은 현 확정노선에는 서악동고분군, 망성리고분군, 용장리지석묘군,이조리개무덤, 노곡리유물분포지등이 산재돼 있고 우회노선 역시 다수의 유적이 분포돼 있어 문화재 파괴는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경북대 박물관은 10월부터 확정노선의 문화재 정밀조사에 들어가 내년 2월조사를 마무리지을 계획이다.
〈박준현·최미화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