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주종산업인 섬유직물업계가 보유하고있는 직기의 절반 이상이 노후한 것으로 밝혀져 업계의 시설투자가 크게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고있다.섬유기술진흥원에 따르면 현재 대구경북지역의 보유직기 8만7천8백여대중9년이상된 직기는 4만6천5백여대로 전체의 53%로 나타났으며 지난해의 49%보다 4%포인트 증가, 노후도가 심화되고 있는것으로 조사됐다.직기의 법정 감가상각연한은 9년이며 9년이상된 직기는 회계적인 가치가전혀 없어 노후직기로 분류된다.업종별로 보면 면직기의 노후도가 71%로 가장 높았으며 모직기가 60%, 합섬직물업이 46%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최근 폴리에스터 직물을 대량 생산하기위해 워터제트룸등 고속직기의 수입이 급증했기 때문이다.특히 지역별로 보면 대구지역이 노후도가 62%인 반면 경북지역은 43%로 오히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대구지역의 경우 시설투자에 대한 여력조차 없는영세업체가 밀집해있기 때문이다.
직기가 노후하면 생산성이 떨어져 원가부담이 높아지며 직물의 고급화가어려워 고부가화에 실패하게된다.〈윤주태기자〉
댓글 많은 뉴스
삼성 라이온즈의 '아픈 손가락' 최충연과 양창섭, 기지개 켜나
"커피도시 부산"…부산시, 월드커피챔피언 3인과 부산형 커피 음료 만든다
의성군, 산사태 특보 기준 통일·대응 강화
[속보] 특검 "추경호, 계엄 직후 尹뿐 아니라 한덕수와 통화"
[TV] 낯선 땅으로 건너온 조선인의 생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