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대구·경북 경제 살리자

입력 1995-06-29 08:00:00

지자제시대는 어차피 각시도가 경제에 중점을 두는 개발경쟁이 불가피하게된다. 이점을 우려해 정부는 시도중기투자계획제도를 도입하여 중앙정부와지자체의 개발계획을 연계시키기로 했다. 동시에 정부는 각지자체가 지역발전을 위한 기본구상과 재정전망등의 내용을 담은 투자계획을 제출하면 오는9월 시도경제협의회에 상정, 최대한 예산에 반영키로 했다.이 기본방침에따라 대구·경북은하루속히 선거때 내건 공약들을 보다 구체화하여 대구·경북의 발전 청사진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대구의 경우는 1인당 지역총생산(GRP)이 전국 15개 시도중 최하위에 머물고 있어 경제를 살리는 일이 무엇보다 화급한 실정이다.대구의 문희갑시장당선자는 경제회생의 기본구상을 경영환경조성에 두고있는듯하다. 왜냐하면 외자 30억달러의 도입으로 사회간접자본(SOC)을 건설하려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이구상의 방향은 옳다. 다만 어떻게 싼이자의외자를 도입할 수 있느냐 하는 점이 의문일 뿐이다. 그러나 선거과정에서 이부문에는 시민의 의혹이 많았으므로 이해를 구하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일본의 고베처럼 가장 잘 사는 도시이면서 가장 부채가 많은 도시가 될것인가, 아니면 현재와 같이 못살면서 상대적으로 부채가 적은 도시로 남을것인가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시민적 합의를 구할 수 있고 그바탕위에 정책을 펴야 효율성이 높아질 것이다.

동시에 국내외유치기업은 선진기술기업이어야 함은 물론 친환경적 기업이어야 할 것이다.

경북의 경우는 역시 북과 남의 불균형성장과 농촌을 어떻게 발전시킬것이냐가 우선 해결해야 될 문제이다. 지금까지 북부지역개발은 대체로 관광벨트화로 그 해결책을 찾으려 하고 있으나 그것이 근본적인 대책이 아님은 물론이다. 따라서 내륙에 맞는 산업단지화는 필수적이다. 이의근지사당선자는 이점을 유의해서 지혜를 짜내 업종이나 위치 그리고 육성여건등을 구체화시켜야 할 시점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대구는 대구대로, 경북은 경북대로 따로 떨어져서는 경제효율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점을 대구와 경북은 깨달아야 한다. 오래전부터강조돼온 사안이지만 지금까지 구체화시키지 못하고 있다.이제 본격적인 지자제시대이므로 더이상 늦출수 없는 문제라고 생각된다.해양지향성개발계획이나 환동해경제권구상이 그렇고, 포항~대구~구미를 잇는 산업벨트구상에서도 그렇다. 또 대구 경북지역 산업의 중추관리기능은 대구가 맡을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도 그렇다.

서로 자기이익만 찾다가는 서로 피해를 보게 된다는 점을 명심하고 지역적역할분담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