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어민후계자 정착 어렵다

입력 1995-06-23 08: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청도 정부가 농·어민후계자 육성자금으로 지원해주는 융자금이 수년째 동결돼 농·어촌정착에 어려움이 많아 개선책이 요구되고 있다.농·어민후계자 제도는 정부가 지난81년부터 실시 농·어촌발전에 기여해 왔으나 해마다 영농기자재등 가격상승에도 불구 육성자금 지원은 전혀 인상되지않고 있다.농·어민후계자 선발요강에는 1인당 지원금을 1천5백만원~3천만원까지 지원해 줄수 있도록 돼 있으나 일선 시·군이 가능한 많은 농·어민 후계자를 책정하기 위해 1인당 무조건 1천5백만원으로 국한시켜 지원해 주고 있다.이때문에 영농후계자의 경우는 농지구입, 하우스시설, 저장시설, 농기계구입과 축사신축, 가축입식, 폐수시설 설치등을 적은 지원금으로 엄두조차 낼수 없는 실정이다.

특히 현실적으로 농지가격의 상승, 소값 폭등, 축사및 폐수처리시설 비용 상승 기타 농업기반 조성사업비등이 해마다 급등하고 있으나 당국은 이들 후계자들의 정착에 따른 지원금 인상은 전혀 해주지 않아 정착에 어려움이 뒤따르고있다는 지적이다.

청도군의 경우 지난81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정된 영농후계자는 3백71명이고올해 신규 지정자도 79명으로 총4백50명이나 되고 있으나 정부의 지원금으로자립영농기반을 정착한 후계자는 전혀없고 대부분 이율이 비싼 농협자금등을대출받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어민 후계자들은 "농지값을 비롯 각종 농기계값상승 가축값등 해마다 가격상승으로 현재의 지원금으로는 정착에 문제가 크다"며 "후계자수를 줄이더라도 실제 정착이 될수 있도록 선발요강에 3천만원까지의 한도로 지원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