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DO란-한·미·일 주축...대북 경수로사업 담당기구

입력 1995-06-13 22:32:00

북미 준고위급회담이 경수로 협상을 타결하면서 노형과 주계약자 선정권등거의 모든 권한을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에 맡김으로써 KEDO는 명목적인기구에서 실질적인 결정기구로 부상하게 됐다.지난해 10월 서명된 제네바 기본합의문에 따라 대북 경수로 사업을 담당하기위한 국제 컨소시엄으로 발족된 KEDO는 지금까지는 현판조차 제대로 내걸지 못한 채 경수로 협상결과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다만 지난 3월 한미일3국이 뉴욕에서 1차 이사회를 열어 설립협정에 서명,이기구의 목적, 기능, 활동원칙,구성, 조직, 재정운영 등에 관한 제반규정을승인한 바 있다.

KEDO는 그 설립목적에 1천MW 한국표준형 원자로 2기를 북한에 제공하기 위한것이라고 명시하고 이를 위해 재원의 조달 및 공급, 대체에너지 제공을 담당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또 이를 위해 관련협정 및 계약체결을 그 주요 기능으로한다고 밝히고 있다.

현재 회원국은 한미일 3국이지만 재정적인 부담을 전제로 어느 국가나 참여가 가능,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일부 중동국가를 포함해 대략 15~17개 국가가참여할 것으로 보고있다.

2년 임기의 사무총장에는 필리핀대사를 역임한 미국의 보스워스씨가, 한국의최영진전외무부 국제경제협력국장이 사무차장으로 임명됐으며 그 밑으로40~50명의 각국에서 파견된 관리들이 뉴욕 본부에서 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8월이면 본격적인 업무에 착수할 것이라는 관측이다.

갈루치 미핵대사가 KEDO의 실질적인 의사결정기구인 집행위원회 의장을 맏고있으며 한국의 최동진 경수로 기획단장과 엔도 데쓰야(원등철야) 경수로 대사가 한일 두나라를 대표해 집행위원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북한의 한국 기피를 감안해서 미국이 대표가된 셈이지만 앞으로 KEDO내 활동은 지금까지와는 상당히 달리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경수로 자금의 대부분을부담할 한국이 '전주'로서 실질적인 역할을 맡는다는게 한국정부의 생각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