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량상품의 고발 등 상품피해보상차원에 머물렀던 소비자보호운동이 의료·법률 등 전문서비스 영역으로 확대, 소비자운동이 한결 전문화될 전망이다.한국소비자연맹대구·경북지부는 19일'전문서비스영역과 소비자보호'를주제로 토론회를 열어 의료, 법률, 행정, 금융분야 전문가와 일반소비자들이전문영역의 소비자보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대한 대화를 나누었다.이영옥지부장은 "이제는 소비자운동도 복지,후생 등 전문서비스분야로 확대돼야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전문지식과 정보 부족에 따른 소비자피해를 줄이기 위해 서비스 제공자와 이용자간의 인식전환과 대화가 필요하다"고 취지를 말했다.'의료서비스'에 대해 정성덕영남의료원장은 서울YMCA중계실 접수 의료피해사례를 들어 처치후 악화, 병원행정 부조리, 오진, 진료비 과다 및 부당청구등으로 나타나며 진료 및 투약대기시간, 특진비, 의료분쟁, 불친절 등 환자나보호자의 불만이 접수되고 있다고 터놓고, 정부의 적극적인 병의원육성책과 보험수가 현실화, 의료조정분쟁위원회의 활성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법률서비스'부문에 대해 임철변호사는 브로커 등에 의한 변호사 선택으로분쟁의 소지가 많다고 지적, 소비자보호를 위해 선진국처럼 고문변호사제도 도입이 필요하며 아울러 법률부문의 보험제도 도입,법률회사형태로의 전환 등이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용카드'부문에 대해 발표한 김창근 대구은행 카드사업실과장은 현재 발행카드 2천5백만매, 연간이용 40조원 등 신용카드 이용의 생활화에도 불구, 1조1천5백억에 가까운 연체료 등 카드남발, 소비자의 소비심리팽배 등이 문제시되고 있다며 소비자의 철저한 카드관리는 물론 소비자보호를 위해 소비자단체등에 강제 조정기능을 부여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행정서비스'에 대해 곽건영대구시청 시민과장은 행정기관의 입장에서는현대적 기기, 시설도입과 운영체계를 위한 예산과 전문기술미흡, 행정자료 전산화 등이 당면과제이며 소비자입장에서는 과다한 증빙서류와 불필요한 서식요구, 공무원의 불친절, 책임회피 등이 불만요인이 되고 있다면서 질높은 서비스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토론회에는 장흥섭 경북대교수, 김해룡 계명대교수, 임경희 대구대강사,박노광 계명대강사, 정재영 자연생태보존회 총무 등이 토론자로 나왔다. 장흥섭교수는 총정리를 통해 의료, 법률 등 긴급상품이라 할만한 전문서비스영역의소비자보호를 위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피해보상기구설치가 필요하며, 소비자와 사업자의 적극적인 의식 대전환, 소비자운동의 조직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