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상공회의소의 달성군 논공면 위천리 일대 2백만평이상의 국가공단 조기조성 건의는 대구의 공장용지 수요와 낙동강하류 지역의 '상류 오염공단 조성반대'등 제반여건을 고려하고 각계의 뜻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레 도출됐다.상의는 19일 국가공단 조기조성 건의안 채택에 앞서 위천리 일대에 대한 현장조사를 했다.대구시와 달성군및 상공계 관계자들의 '불감청 고소원'이란반응도 감지했다.
상의가 파악한 바에 따르면 90만평 규모의 지방공단을 조성, 염색단지화하는안은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의견.
먼저 대구시가 공단을조성하려면 재정형편상 '선분양 후조성'의 종래방식을 답습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하세월이라 공장용지 수요급증에 따른 적기공급이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없게 된다.
또 흩어진 염색업체를 모아 단지화하려는 것을이해하지 못한 탓도 있지만어쨌든 부산·경남지역민과 환경부의 반대도 걸림돌이다.
그러나 국가공단으로 조성하면'선조성 후분양' 방식을 채택해 조성기간 단축이 가능하다.특히 대규모 환경투자로 부산·경남의 정서를 달랠수 있다는것도 큰 매력이다. 염색공단화가아니라 환경 친화력이 높은 첨단산업을 집중유치한다는 '당근'도 마련했다.
게다가 정부의 자금지원으로 싼 값에 공장용지를 공급, 입주 중소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도 된다.
이처럼 국가공단화 필요성이 강조되자 90만평은 규모가 너무작다는 의견이당연히 표출됐다. 녹산·구미등 국가공단은 보통 수백만평 규모이기 때문.상의는 현재 대구시와 여야정당은 물론 정부도 상의의 건의에 호응해 올 것으로 믿고 있다.
채병하상의회장은 "이같은 일에는 대구시가 가장 앞장서야 하며 여야도 짐을나눠져야 할 것"이라 강조하고 "대구시와 여야 정치권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언급했다.
채문식조사부장은 "부산·광주·인천·경남등 타시도에 모두 국가공단이 있다는 형평성을 제기하지 않더라도 정부에'대구의 경쟁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이라고 파악하는 혜안이 있다면 상의의 건의를 적극 수용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달성군 논공면 위천리·삼리리·금포리등지 2백~3백만평의 국가공단지정 건의안을 심의한 대구상의지역개발분과 김청한위원장은 "지역의 역량을 한데모아 반드시 정책에 반영되도록 하자" 고 강조했다.
상의의 건의에 대한 대구시와지역정치권의 움직임과 정부의 반응이 자못궁금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