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내무위원들은 1백여명의 사망자와 1백60여명의 부상자를 낸 대구가스폭발사고에 경악을 금치 못하면서 정부의 안전관리 소홀을 한목소리로 질타했다.내무위원들은 일단 이번 사고를 수습하는데 총력을 기울이되 내달 1일 개최될 임시국회에서 이번 사고의 원인과 책임소재를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단단히 벼르고있다.
특히 이번 가스사고는 총체적 부실과 안전관리 소홀에서 빚어진 '예고된 인재'라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다시는 이와같은 엄청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근본대책을 마련하는데 부심하는 모습이다.
내무위원들은 지난해 10월 대구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미 이같은 대형사고를 예견, 대구지하철의 문제점을 지적했는데도 시정이 되지 않아 이런 참사가 발생했다면서 "한심스럽기 짝이 없는 일"이라고 분개.
특히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대구가스폭발사고 위험성을 지적했던 김옥두의원(민주)은 "끊이지 않는 대형사고에 이어 또다시 시민이 참화를 당하는 현실앞에 망연자실함을 금치 못한다"고 주장.
김의원은 특히 지난해 10월1일 대구시에 대한 내무위 국정감사때 의원들이대구지하철 문제점을 수차 지적했음에도 적절한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은 조해령당시시장의 책임문제를 거론. 또 김의원은 현정부와 김용태내무장관은 명확한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영광의원(민자)은 "이번 사고는 누가 뭐래도 안전관리 소홀에서 빚어진 것"이라며 "대구시장은 이번 대구지하철 가스시설물에 대한 점검이 있었는지 여부를 분명히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실의원(민주)도 "한마디로 이번 사고는 총체적인 국가경영능력의 부재로인해 빚어진 참사"라며 뿌리깊은 적당주의와 무사안일주의, 주먹구구식 행정을안전사고의 '최대적'으로 규정했다.
남평우 김길홍의원(민자)은 "지금 우리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사회현상을 위기라고 표현하는데 아무런 이의가 없다"면서 "서로가 책임을 전가하고 보신주의에 급급한 자기중심주의에서 벗어나야만 이같은 참사를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사회분위기쇄신을 촉구했다.
이와함께 의원들은 최근들어 도시가스관, 통신케이블등 지하매설물에서 사고가 빈발하고 있는 점을 감안, 지하매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종합대책마련을 요구했다.
민자당 남평우 김영광의원등은"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와 규격등이 기록된 '지하매설물종합지도'를 작성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도시가스관과 통신케이블등 지하매설물들이 도시의 땅밑을 혈관처럼 뻗어나가고있지만 이들 매설물의 정확한 위치와 규격등이 기록된 '지하지도'가 없어단순한 사고도 대형참사로 이어질 위험성을 안고 있다는게 이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