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투족난민 10만명 피난길

입력 1995-04-25 08: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르완다 정부군의 보복 학살에 위협을 느낀 후투족 난민의 피난행렬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유엔을 주축으로 한 국제사회는 24일 르완다 정부의 만행을 강력히 비난하고 자체 진상조사에 나섰다.학살 사건 이전 13만명이 수용됐던 르완다 남서부 키베호 난민촌에는 이날 약 1천명의 난민이 잔류하고 있으며 부녀자와 어린이등 공포에 질린 10만명의 난민이 인근 부타레를 향해 피난길에 올랐다.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의 레이 윌킨슨 대변인은 부녀자와 어린이,부상자와 병자등 10만여명이 진흙길을 걸어 키베호 난민촌에서 동쪽으로 32㎞떨어진 부타레로 향하고 있으며 이들의 피난행렬이 수십㎞나 이어졌다고 전했다.

윌킨슨대변인은 부타레에 도착한 난민들이 23일 한 축구경기장과 시내 유엔건물에 수용돼 유엔의 식량배급과 치료를 받고있다고 말했다.르완다당국은 이들 난민이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하고 있으며 르완다정부군은 후투족난민들을 트럭에 태워 강제로 귀환시키기 시작했다.르완다정부군은 또 해산을 거부한채 키베호 난민촌에 남아있는 1천여 난민들을 강제로 몰아낼 것이라고 경고하고 정부당국의 명령만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잔류 난민들은 다른 피신처를 찾을때까지 키베호 난민촌을 떠나지않을 것이라고 맞서고 있어 정부군과 충돌이 재연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유엔군은 키베호 난민촌에 의료지원반을 파견, 생존자들의 치료와 이송을돕고있다.

한편 부트로스 부트로스-갈리 유엔사무총장은 '부녀자와 어린이등 수천명의 비무장 민간인들을 살해한 르완다 정부의 종족 차별적 만행'을 강력히규탄했다.

미국무부도 조지 무스 차관보를 르완다에 급파, 학살 책임자 규명과 미국의 난민 지원방안을 조사하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니컬러스 번즈 국무부대변인은 "르완다에 인도주의적 대재앙이 발생했다"면서 사태해결의 1차적책임은 르완다정부에 있지만 국제사회도 인도적 관심을 갖고있다고 말했다.그러나 르완다에 대한 최대 원조 공여국중 하나인 영국은 이번 사태와 관련해 르완다 정부측 입장에 지지를 표명하면서 "르완다내 난민촌들은 무장한 후투족 과격파들의 온상이 돼왔다"고 지적했다.

유엔 르완다지원단은 당초 학살 난민수를 5천~8천명으로 추산했으나 이를수정,2천명이 사망하고 6백명이 부상했다고 발표했다.

UNHCR의 윌킨슨대변인은 사건배경과 관련, 지난 22일 수용소 난민들이 갑자기 내린 비를 피하기 위해 감시병들의 대열을 뚫으려 하자 탈출로 오해한감시병들이총격을 가했으며 무장 난민들도 반격에 나섬으로써 대규모 공격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