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의 도시행정이 아파트업자들에게 끌려다니는 인상을 지울수 없다. 길도 제대로 내지않은 지역에 아파트부터 짓도록해놓고 교통체증을 유발하는짓을 예사로하더니 이제는 국민학교시설문제조차 도외시하는 행정을 펴는것은 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라 하겠다. 도대체 주택업체를 위한 시정인지 시민을 위한 시정인지 분간할수 없다. 일부에선 주택업체에 의한 로비설까지 떠돌지경에 이른것은 시정불신의 깊이를 짐작케 한다.대구시가 수성구매호동일대 10만여평의 준공업지역과 자연녹지를 주거지역으로 변경, 아파트단지를 조성해 96년부터 3천여세대가 입주할 예정인데도 국교시설결정이 되지않고있는것도 그같은 사례다. 이때문에 이곳에 이사올 주민자녀 1천2백~1천5백명의 국교생이 전입학을 못할 형편이란 것이다. 기존국교도 포화상태에서 수용이 어렵다고 한다.
더욱이 이같이 앞뒤 맞지않는 행정이 주민에게 고통을 준다는 사실을 깨닫고늦었지만 한시라도 빨리 시정하고자하는 의지조차 보이지않는 당국의 태도는분노를 사기에 충분하다. 대구시와 대구시교육청 사이에 책임전가만 하고어떻게라도 대책을 세우겠다는 움직임을 보이지않는것은 복지부동의 극치를보인것이라 하겠다. 이번 경우는 학교시설결정과정에서 설사 대구시교육청이다소간 과오를 범했다하더라도 궁극적인 잘못은 대구시에 있다고 볼수 있다.대구시는 이 지역에 90년2월 도시기본계획을 수립 자료를 시교육청에 제시했으며 92년10월 학교수요추정검토를 의뢰한데이어 이해12월 재협의를 갖는등4차례에 걸쳐 학교시설대책을 시교육청에 요청했다고 변명하고 있다. 그러나대구시 교육청은 대구시가 87년에 아파트지구로 지정해 놓고도 93년에 학교부지확보를 요청했고 94년4월 특정부지를 물색 두차례나 시설결정신청했으나이런저런 이유로 부결됐다는 것이다.
어느쪽의 주장이 맞는지 절차나 서류상의 문제로만 단정지을 일은 아니다.시교육청이 늦게 신청하고 적절치 못한 부지선택을 했다고 치더라도 이 일만은 대구시가 그렇게 후다닥 해치울 것이 아니다. 아무리 바빠도 실을 바늘허리에 매어 쓰지 못하는 이치와 같다. 적어도 대구시가 기관끼리 시교육청에책임을 묻는한이 있더라도 주민의 고통이 발생하지 않도록 행정을 펴야할 것이다. 대구시가 아파트업자에겐 부지를 사들이고 난뒤에 용도변경을 해주고돈도 벌수 있도록 여유있게 주선하면서 학교부지를 구하는 시교육청에 대해선 왜 그렇게 인색한가. 그것도 시교육청의 직원복지문제라면 몰라도 아파트입주시민자녀의 교육에 관한 사항을 그렇게 강행처리해도 업자들의 편의만고려하면 그만이란 말인가.
대구시 당국의 행정이 이래서는 세계화고 지방화고간에 공염불이다. 지금이라도 서둘러야 한다. 교육청도 더 적극성을 가져야겠지만 종합행정을 하는대구시가 하루라도 빨리 학교를 지을수 있도록 능동적으로 도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