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장 자문기구인 선거구획정위는 15대 총선 1년전까지 국회의원선거구획정안을 마련, 국회의장에게 제출토록 한 통합선거법에 따라 늦어도 오는 4월11일까지 선거구 조정안을 마련해야 한다.민자·민주 양당은 획정위의 조정안을 토대로 선거구조정을 위한 선거법을개정할 방침이나 여야의 현격한 입장차이로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특히 금년 1월1일부터 출범한 33개 도농복합형 시·군통합지역에 대한 선거구 통폐합문제를 놓고 여야간 이견을 보이고 있어 인구편차 축소문제와 지역대표성 문제가 최대쟁점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민자당은 선거구의 최고 및 최저 인구수를 현재의 35만명대 8만8천명을 축소하고 급격한 인구 감소로 지역대표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농촌지역에 대해서는 별도의 획정기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입장인데 반해 민주당은 기존 선거구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민자당은 대도시의 상한선은 35만명을 그대로 유지하더라도 도농통합시의 경우 하한선은 그대로 두고 상한선을 하향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50만명이 넘는 포항과 27만여명인 경주 귀미는 분구가 돼 문제가 해소되나 20만명에 못미치는 안동의 경우 분구대상이 안돼 김길홍 유돈우의원간의 지역구 조정문제가 걸릴 수 밖에 없다.
또 대구 북구의 경우 분구대상이 돼 대구는 달성군의 편입도 있어 선거구가13개로 늘어난다.
이와함께 민자당은 달성군의 대구편입으로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해진 고령군은 성주군과 합해 한 선거구를 만들고 선산군이 귀미시가 됨으로써 떨어져나간 군위군은 칠곡군과 묶어 한 선거구로 만드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있다.
하한선을 8만명으로 할 경우 경북의 예천, 울진과 경남 합천은 단일선거구가될 수 없다.
이렇게 될 경우 울진은 포항시와 한 선거구인 울릉과 합하면 단일선거구가가능하나 울릉주민들의 반발이 강해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으며 예천은 문경과 합해질 수 밖에 없으나 지역구 의원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아 선거구 조정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정택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