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가정-별미세찬 떡찜, 떡산적, 구절판 3가지

입력 1995-01-26 08:00:00

조상에 차례를 지내고 웃어른을 찾아 세배를 드리는 설날에는 갖가지 설음식을 먹으며 정을 나누는 즐거움도 빼놓을 수 없다.전통적인 세찬상은 지방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많이 차리는 음식으로는 떡국(또는 만두국), 찜종류(갈비찜, 사태찜), 전종류(야채전,민어나대구 등의 전유어),회종류(육회, 생선회), 각색나물(무 숙주 고사리 시금치등), 편(시루떡, 인절미 등), 음료(수정과,식혜), 약식, 다식 등이 있다. 특히 경상도지방에서는 강정을 빼놓지않고 준비하며, 안동등지에서는 찹쌀고두밥에 무, 배, 고춧가루 등을 넣은 특유의 식혜를 설음식으로 즐긴다.모처럼 한자리에 모인 가족들과 세배손님들을 위해 가래떡과 야채를 이용한별미 세찬을 요리전문가 서향순씨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떡찜

△재료 및 분량(4인기준)

흰떡 5백g, 사태 3백g, 무 3백g, 당근 2백g, 쇠고기우둔살 1백g, 표고버섯3개, 은행 3알, 잣 1작은술, 달걀 1개, 물 10컵. 양념은 2가지로 ㉮양념은 간장 1큰술, 설탕 1/2큰술, 다진파 2작은술, 다진마늘 1작은술, 참기름과 깨소금 각 1작은술,후춧가루 약간, ㉯양념은 간장 6큰술, 설탕 3큰술, 다진파4큰술, 다진마늘 2큰술, 참기름과 깨소금 각 2큰술, 후추가루 약간.△조리법

①물 10컵을 끓이다 사태를 덩어리째 넣어 삶는다. 무, 당근은 도중에 넣어통째로 넣어 설익게 삶는다. ②쇠고기를 곱게 다져 ㉮의 양념으로 버무린다.③흰떡을 5cm길이로 잘라 칼집을 넣어 끓는 물에 살짝 데쳐 약간 식힌후 양념한 고기를 채워넣는다. ④삶은 사태와 무, 당근은 4cm길이로 토막내 모서리를 둥글게 도려 낸다. ⑤은행알은 프라이팬에 볶아 종이나 마른행주로 비벼 껍질을 벗기고 달걀은 황백 지단을 부쳐 길쭉한 골패모양으로 썬다. ⑥사태와 당근, 무를 넣고 ㉯의 양념장 반쯤과 육수 2컵을 넣고 중불에서 끓인다. ⑦고기와 채소에 간이 배면 고기를 채운 떡을 넣고 양념장을 마저 넣어국물이 거의 없어질때까지 졸이다 은행을 넣어 잠시 더 끓인뒤 지단과 잣을얹어 내놓는다.

*떡산적

△재료 및 분량(4인분)

흰떡 3백g, 쇠고기(등심) 2백g, 양념은 2가지로 ㉮양념은 간장과 참기름 각1큰술, ㉯양념은 간장 2큰술,다진파 4작은술, 다진마늘 4큰술, 깨소금 2작은술, 설탕 1큰술, 참기름 2작은술, 후춧가루 약간.

△조리법

①가래떡은 6cm길이로 잘라 길이로 사등분하여 ㉮의 양념으로 무친다. 떡이굳었으면 끓는 물에 살짝 삶도록. ②쇠고기는 연한 부위로 0.7cm 두께로 떠서 잔칼질을 하여 7cm정도로 길쭉하게 썰어 ㉯의 양념으로 버무린다. ③대꼬치에 떡,쇠고기를 번갈아 꿰어 잠시 두어 간이 배도록한다. ④프라이팬에 기름을 약간 두르고 지진다.

*구절판

△재료 및 분량

쇠고기 1백20g, 표고버섯 5개, 죽순 1백50g, 달걀 2개,고사리 1백20g, 도라지 1백20g, 콩나물 1백50g, 미나리 1백50g. ㉮양념은 간장 2큰술,다진파 4작은술,다진마늘 2작은술, 설탕 1큰술,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양념은밀가루 1컵,물 1컵,소금 약간, ㉰양념은 간장 3큰술, 식초 1큰술반, 물 1큰술, 후추가루, 국간장, 참기름, 소금 약간.

△조리법

①쇠고기는 가늘게 채썰고,표고는 물에 불려 채썬다음 ㉮의 양념장으로 따로무친다. ②고사리는 5cm길이로 잘라 국간장과 참기름,깨소금으로 무쳐 팬에볶는다. 도라지는 5cm길이로 잘라 소금으로 주물러 씻은다음 참기름으로 볶으면서 소금간을 한다. ③미나리는 끓는 소금물에 데친뒤 적당한 길이로 썰어 참기름과 소금으로 무친다. ④콩나물은 몸뚱이만 끓는 물에 데쳐 팬에 볶고 죽순도 채썰어 볶으면서 소금간을 한다. ⑤달걀은 소금간을 해 지단을 부쳐 4cm길이로 가늘게 채썬다. ⑥ ㉯의 밀가루에 물,소금을 섞은뒤 지름 8cm정도로 얇게 밀전병을 부친다. ⑦구절판틀의 한복판에는 밀전병, 둘레의 8칸에는 준비한 재료를 색맞춰 담고 초장을 곁들인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