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가장 이상적 통합" 불구 문제 산적

입력 1995-01-11 08:00:00

49년 8월15일 읍이었던 포항이 시로 승격되면서 분리됐던 포항과 영일이 46년만에 또다시 통합돼 발빠른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25개동 뿐이었던 시의 행정조직이 4읍10면25개동으로 조정되고 2개구청이 새로 신설됐다.

77㎢였던 행정구역은 1천1백25㎢로 확대됐고 인구도 포항 사상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섰다.

인구비율로 본다면 도민 5명중 1명꼴이 포항에서 살고 있는 셈이다.예산규모는 3천억원 정도.

이들 변화로 포항은 특별시와 광역시를 포함해 전국 13대도시, 특별·광역시를 제외하면 7대 도시의 하나가 됐다.

경북도내에서는 당연히 최대규모 도시가 됐음은 말할 필요도 없다.포항은 올들어 새로 출범한 전국 35개 도농 통합시중 가장 이상적인 도시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포철등 지역산업기반이 튼튼하고 항만을 낀 국제교통 요충지에다 배후의 지원기반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통합시의 청사진과 계획들이 통합만 되었다고 저절로 이루어질수는없는 일이다.

어떻게 이들을 잘 해결하고 대처해나가느냐에 포항의 장래가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포항시 여남동에서 흥해읍의 목리 사이에 건설될 2백4만평 규모의 신항만 건설 사업이 그 본보기다.

2조원의 천문학적 사업비가 투입될 이 사업의 공사기간은 올해부터 2013년까지.

시민들은 사업 기간이 너무 길어 포항 변화를 주도할 수 없다는게 불만이다.더구나 올해 예산이 겨우 5억원밖에 확보안돼 과연 이 사업이 제대로 촉진될수 있을지 상당수 시민들은 회의를 표시하고 있다.

이같은 의문은 신항만 조성이 거창한 발표만 있었지 여태 관계기관끼리 제대로 협조가 안돼 청사진이 나오지않는데서 더욱 확산 되고 있다.현재 상태의 신항만은 머리만 있고 손발이 없는 몸체와도 같은 셈이다.통합시 제1의 긴급 현안은 46년만에 만난 포항시민과 영일군민 사이의 이질감 해소방안. 비록 동일한 뿌리를 가졌다하더라도 산업화기간동안 늘상 대립하고 마찰을 빚어왔던 앙금이 현재까지도 가셔지지 않고 있다.또 하나의 과제는 재정 확충 대책.

포항은 통합전 자립도가 92%로 전국 최상위권에 속했으나 영일군과 통합한이후 62%로 뚝 떨어졌다.

재정 빈약은 필연적으로 포항 발전의 걸림돌이 될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당장발등의 불이 되고 있다.

시의원과 군의원간에 나타나고 있는 갈등 관계도 난제중의 하나다. 이에 양측은 4일 실시된 의장선거와 상임위원장 선출을 둘러싸고 한판 힘겨루기를벌였고 그 양상은 이후에도 상당기간 계속될 전망이다.

시·군 출신 공무원간에 빚어지고 있는 '심리적 불통합'도 통합시가 풀어야할 숙제거리다.

서로가 불이익을 받지않으려고 출신별로 짝지어 다니는가 하면 그들끼리만정보를 주고받으며 알력을 노출시키고 있다.

공무원들의 업무 숙지도가 낮은점도 큰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한꺼번에 대폭 인사를 하면서 잡음을 우려, 시 ·군이 6대4 비율로 짜맞추기식 발령을 내다보니 전문성과 능력이 고려되지 않은 결과로 풀이되고 있다.이때문에 행정 공백은 물론 할일이 태산같은 시정 추진에 막대한 혼란을 불러 일으켜 시민들이 그 피해를 입게될 형편이다.

당초 계획했던 외지 교육원 전입시도도 무위로 돌아가 현재 직원이 정원보다1백명이나 부족, 일부 행정기능이 마비되고 있다.

이밖에 업무 분장이 제대로 되지않아 어정쩡한 입장에 놓여 있는 도·농복합구청과 시청, 구청과 읍·면·동 사무소간의 사무위임 문제도 시급히 정리되어야할 과제다.

구청 직원들은 벌써부터 속빈강정처럼 어렵고 힘든 업무만 떠맡았다고 아우성치며 구청 무용론까지 제기하고 있다.

또 아직까지 통합을 보류한채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포항·영일문화원 합병이 난제로 남아있으며 송도·해도동처럼 행정구역과 경찰관할 지역이 달라혼선을 빚고 있는 문제도 시급히 해결해야할 사안이다.

이와함께 통합에 기대를 걸고 있는 영일군 지역을 어떤 방법으로 개발해줘야할것인지, 구청 후보지를 어느곳에 정할것인지 등 통합후의 난제들이 실타래처럼 얽혀 있는 상태다.<포항·崔潤彩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