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26일 마포당사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논란이 일고 있는 전당대회 개최문제에 대한 공식 논의에 착수한다.이번 전당대회 논의는 12.12 투쟁노선을 둘러싸고 갈등이 표면화됐던 이기택대표 진영과 동교동계 등 당내 양대계파간의 힘겨루기가 다시한번 재현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세밑정가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특히 이대표는 그간 9인 집단지도체제의 문제점까지 지적하며 차제에 김대중아태재단이사장의 그늘에서 완전 독립, {실세대표}로 변신하겠다는 집념을 불태우고 있다.
반면 동교동계는 이를 차단하기 위해 중도계 최고위원들을 끌어들이는등 {세우위}를 무기로 이대표진영을 압박하고 있다.
때문에 앞으로 전당대회 당론조정 과정에서 일단 이대표는 내년 2.3월께 전당대회를 치러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할 것으로 보인다. 12.12 투쟁으로 다져진 {홀로서기} 시도를 전당대회에서 마무리짓기 위해서다.그러나 권노갑 한광옥최고위원등 동교동계는 당내 역학구도로 볼때 조기전당대회는 계파간에 극심한 갈등을 초래, 지방선거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이유로 지방선거후 7.8월께 치러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할 것으로 보인다.마땅한 자체 후보감이 없는데다 이대표외의 대안찾기도 당장은 여의치않은속사정때문이다.
여기에 비주류인 김상현고문 신순범최고위원과 개혁모임의 이부영최고위원은조기전당대회를, 김원기 조세형 노무현최고위원 등은 지방선거후 전당대회를각각 지지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지도체제 문제도 의견이 엇갈리기는 마찬가지다. 홀로서기를 노리는 이대표로선 대표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단일지도체제로 가야 한다는 입장이다.물론 이를 못마땅하게 여기는 동교동계는 현재의 집단지도체제 골격이 유지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처럼 전당대회를 둘러싼 양측간 입장이 현저히 다른 만큼 한쪽이 대폭 양보하지 않는한 문제가 쉽게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그래서 양측은 주말을 이용, 잇단 물밑접촉을 갖고 전당대회 시기문제를 활발히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과정에서 두 진영은 전당대회 개최시기와 지도체제, 차기당권등 향후 당진로에 관련된 문제를 두루 협의하면서 {선거후 전대} 방안에 대한 절충을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절충이 쉽지 않을 경우 김이사장을 직접 만나 담판을 벌이는 방안도 적극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예정된 코스대로 정기국회가 폐회됨에 따라 민주당은 사실상의 당권경쟁으로 돌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