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광역화 계획이 가시화되자 편입 여부를 둘러싼 대구인근 지역 주민들간의 갈등과 욕구분출이 심각한 양상으로 나타나는가하면 행정구역 개편에 따른 신분변화등을 우려한 공직 사회가 크게 동요하는등 시역확장추진에 따른파장이 확산되고 있어 대구.경북의 공동발전을 위한 {조정위원회}구성등이 요망되고 있다.특히 대구시 광역화 문제가 경북지역 주민들에게는 상대적인 불이익으로 받아 들여져 시도민들간의 갈등 유발은 물론 행정마찰 가능성도 높아 대구시 광역화 계획에 대한 당국의 합리적 대안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또 이번 광역화 계획이 정치권의 이해관계에 휘말려 지역발전의 걸림돌로 작용돼선 안된다는 비판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달성 경산 칠곡 고령지역의 편입거론 대상에서 제외된 지역주민들은 부분 편입에 대해 군세 위축을 우려, 대부분 반대 입장을 보이면서 [일괄 편입을 해주거나 부분편입으로 인한 부작용을 막을수 있는 대안이 없으면 현 행정구역을 존속시켜야 한다]는등 분분한 의견을 내놓고 있다.
또 달성군 옥포면지역 15개 이장을 비롯 새마을지도자, 새마을 부녀회장, 주민등 1백85명은 31일 대구시 편입을 요구하는 건의서를 달성군과 군의회, 경북도, 대구시등에 제출하는등 정부의 뒤늦은 대구시 광역화 발표에 관련 시군민의 혼란이 심각한 양상이다.
더욱이 이번 광역화 계획이 {한다 안한다}등으로 그동안 심한 논란을 보인가운데 편입대상 지역도 소문이 뒤죽박죽, 해당지역 주민들이 대혼란을 겪고있는데다 {정치적 차원에서 시역확장 방침만 정했을뿐 행정기관의 사전 검증작업이 전혀 뒤따르지 않아}편입대상과 방법을 두고 시비가 봇물터지듯 쏟아지고 있다.
영남대 최외출교수는 [대도시 광역화 계획은 정치적 입장에서 즉흥적으로 다루어진 것 같아 자칫 문제를 확대시킬 우려도 있다]고 지적, 양지역의 공동발전을 위해선 각계각층이 대표로 참여하는 조정위원회 구성등 적극적인 논의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