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섬유업체 기반 "흔들"

입력 1994-05-20 08:00:00

오는 95년6월에 끝나는 직물제조업합리화사업 계획기간 만료후 섬유제조업에대기업의 참여가 큰폭으로 늘어날 것이 예상돼 중소기업 섬유업체의 존립이걱정될 정도로 큰 변화가 예상되고있다.합리화사업은 {노후시설의 정비및 근대화사업}으로서 시설의 자동화를 위한다각적인 방법으로 경제성을 잃은 노후시설은 폐기하고 폐기개체비율(제트룸1대당 보통직기4대 폐기)에 따라 새직기를 증설할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그런데 중소기업에 유리한 합리화사업이 완료되면 대기업도 아무런 규제를받지않고 직기를 늘릴수있어 중소기업이 상대적으로 경쟁력을 잃어 자칫 거대자본에 종속되는 결과를 빚어 겨우 자생력을 갖춘 중소기업이 위기에 직면할우려를 낳고 있다.

현재 직물업에 거대자본을 투자할 것으로 밝혀진 대기업은 7-8개로 꼽히고있다.

삼성이 염가공시설의 확대를 위해 2000년 섬유발전전략팀을 구성, 7년간 5천억을 투입할 계획아래 고유상표개발과 염가공분야의 자동화 정보화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럭키는 패션산업의 보강책으로 섬유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치중키로 했다.

또 대우는 해외기반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며 선경은 원사 직물등 8개품목의세계일류화를 추진하고있고 코오롱은 원사 패션 염가공분야의 강화를 꾀하고있다.

이외에 해태와 동부도 제직참여의사를 표하는등 섬유업계에 대기업의 참여의사표시로 중소기업이 전전긍긍하고 있는 입장이다.

특히 원사메이커에서 직기를 증설할 움직임이 크게 눈에 띄고있다고 중소업체에선 보고있다.

그러나 중소업체에선 대기업이 직기를 늘림으로써 전체가 불황의 늪에 빠져든다는 이론전개에 그치고 있는 실정일뿐 거대자본에 대항할 수 있는 제도적장치를 갖추기에는 역부족인 형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