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제수단 안보리표결 따라 결정

입력 1994-03-21 12:49: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시영 주오스트리아대사는 20일밤9시(한국시간 21일새벽5시) 기자간담회를갖고 IAEA특별이사회 북핵결의안 채택을 10여시간 앞두고 사찰에 따른 진행상황과 향후 전망등에 관해 언급했다. 이대사는 이번 특별이사회는 과거와는달리 우리의 핵심우방국들이 북한태도에 격분과 실망의 빛이 완연한 만큼 그어느때보다도 {북핵혼내주기}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했다. 다음은간담회 요지.*UN안보리로 이사회결의가 보고된뒤의 IAEA임무는.

-IAEA는 특별이사회 결의문채택으로 모든 북핵관련 의무에서 일단 벗어난다고 볼수 있다. 북핵제재수단 강구는 오직 유엔 안보리 이사국들의 토의와 표결에따라 결정된다고 볼수 있다.

*결의안(특별이사회) 채택으로 어떤 파급효과가 있나.

-이번 결의안은 유엔 안보리.유엔총회.북한등 관련 대상기구나 국가 모두에게 동시다발적인 영향력을 끼친다.

*향후 안보리 실무절차는 어떻게 이행되는가.

-IAEA 결의안 보고서를 이사국에게 먼저 돌리고 이사국과 상임이사회에서 비공식회의를 통해 최대공약 대안을 추구할 것이다. 실제적인 액션조치를 내릴때까지는 상당기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거부자세에 대해 개인적인 견해는.

-아마 북한은 사찰이행에 따른 기술적 고려보다도 평양지도층의 정치적판단(북핵카드 최종결실)에 의해 더많은 수확을 거두기위해 핵심부문(방사화학실험실 접근)을 남겨두었다는 관측도 없지않다. 이러한 상황을 종합해서보더라도 {북측의 대미카드 열연}이 좌절되는 상황까지 치달았음에 비춰 북한지도층의 깊은 속뜻을 헤아리기가 정말 난해하다.

*중국의 안보리에서의 역할에 대해.

-중국이 대미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위해 일부러 {북핵}을 끌게끔한다는 분석도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