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노동위 {돈봉투 사건}의 파문이 점차 확산되면서 검찰의 수사가 불가피하게됐다.검찰이 본격수사에 착수하게 되면 지난 81년의 {돗자리 사건}, {상공위 외유사건}, {수서사건}등과 같이 {봉투}를 받은 사실이 드러난 의원의 경우 의원직 박탈은 물론 액수에 따라 구속도 배제할수 없는 상황이어서 또한차례 정치권에 엄청난 파문을 불러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은 아직까지 국회의 자체조사 결과를 지켜본뒤 수사착수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지만 이미 국민적 관심사로 커져버린 이 사건을 국회차원에서 유야무야 종결짓기는 힘들것이라는게 법조계의 분석이다.검찰은 이 사건에 대한 {내사}설을 강력히 부인하면서도 관련자들의 주장이담긴 방증자료를 확보하는 한편 28일에는 김말룡의원이 봉투 전달자로 지목한 자보 박장광상무를 비밀리에 소환, 조사를 벌이는 등 사실상의 내사를 진행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이에 대해 "지난 10월 검찰에 송치된 부당노동행위 사건과 관련해 소환한 것일 뿐 {돈봉투} 사건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극구 부인하고 있지만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사건의 당사자를 불러놓고 그대로 돌려보냈을리가 없다는 것이 검찰 관계자들의 중론이다.
게다가 자보의 부당노동 행위와 관련한 국회 노동위의 조사를 막기 위해 자보측이 의원들에게 돈봉투를 돌렸다는것이 김의원의 주장이고 보면 검찰이 박상무를 소환조사 한것은 사실상 돈봉투 사건의 원인을 캐는 작업이었다고 볼수도 있는 것.
또한 29일 한 시민이 노동위 의원들과 한국자보 임원들을 검찰에 고발함으로써 검찰로서는 마음만 먹으면 하시라도 수사에 착수할 수 있는 내.외적 조건을 모두 갖춰 놓은 상태다.
그러나 이 사건이 검찰에 넘어온다고 해도 쉽사리 진상이 밝혀지고 관련자들에 대한 사법처리가 가능할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은 할 수 없다.지금까지의 국회 진상조사 과정에서 나타났듯이 김의원은 {돈봉투를 받았다}고 주장하고 자보측과 다른 의원들은 "그런 일이 없었다"고 부인하고 있는상황인데다 구체적 물증마저 없어 실체를 규명하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보인다.
그러나 검찰은 파문의 확산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사건에 검찰이 무턱대고 나설수 없다는 자체판단에 따라 아직까지는 사태추이를 지켜보는 눈치다.이와 관련, 검찰의 한관계자는 "곧 설이 가까워지면 의원들이 귀향활동으로바빠질 것이고 이어 다음달 15일에는 임시국회가 열려 3월 4일에나 회기가끝나게 돼 회기중 의원소환 불가차원에서 수사는 빨라야 3월초나 돼야 시작될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