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고삐 풀린 물가, 당국은 서민 고통 경감 대책 서둘러라

입력 2021-09-28 05:00:00 수정 2021-09-28 06:08:07

지난달 농산물과 공산품을 중심으로 생산자물가가 또 올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7월(110.28)보다 0.4% 높은 110.72(2015년 수준 100)로 지난해 11월부터 10개월 연속 상승세다. 전월 대비 기준으로 품목별 등락률을 보면, 농산물과 축산물 물가가 2.1%, 1.0%씩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시금치(86.2%), 배추(47.2%), 쇠고기(4.7%), 돼지고기(2.9%) 등이 가격이 상승했다. 사진은 24일 서울 한 대형마트 농산물 판매대.연합뉴스
지난달 농산물과 공산품을 중심으로 생산자물가가 또 올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7월(110.28)보다 0.4% 높은 110.72(2015년 수준 100)로 지난해 11월부터 10개월 연속 상승세다. 전월 대비 기준으로 품목별 등락률을 보면, 농산물과 축산물 물가가 2.1%, 1.0%씩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시금치(86.2%), 배추(47.2%), 쇠고기(4.7%), 돼지고기(2.9%) 등이 가격이 상승했다. 사진은 24일 서울 한 대형마트 농산물 판매대.연합뉴스

물가 상승세가 심상찮다. 상반기에는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가 물가 상승을 견인하더니 이제는 전기료 등 공공서비스 요금마저 들썩이고 있다. 코로나19 제5차 긴급재난지원금이 풀린 이후에는 음식값 올리지 않은 식당을 찾기가 어려울 정도다. 월급 빼고는 안 오르는 게 없다는 말이 전혀 과장이 아닌데, 안 그래도 감염병 팬데믹으로 힘겨운 서민들의 삶이 물가 상승 도미노로 인해 더 피폐해지고 있다.

물가 고공 행진은 정부 발표 데이터로도 확인된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소비자 물가 동향을 보면 7월과 8월 두 달 연속 2.6% 오름세를 기록, 물가가 5개월째 2%대 상승률을 이어가고 있다. 정부는 지난 6월 올해 물가 억제 목표치를 1.8%로 상정했지만 헛된 약속이 될 공산이 크다. 올해 연간 물가 상승률이 2%대로 귀결된다면 2012년(2.2%)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 기록을 경신하게 된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이제는 주요 공공서비스 요금의 도미노 인상이 예고돼 있다. 내달 전기료 인상을 필두로 원자재(국제 LNG) 가격이 올 들어 10배 오른 도시가스의 경우 산업통상자원부가 기획재정부에 11월 요금 인상을 요청한 상태다. 2011년과 2015년 이후 각각 동결된 철도요금과 고속도로 통행료도 인상 압박이 크며, 유가 상승과 승객 감소 이중고를 겪는 시내버스 및 택시업계의 요금 인상 요구도 날로 커지고 있다.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경제 발전의 자극제이자 활력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소득 양극화 현상이 심각하고 팬데믹까지 겹쳐진 지금 상황에서 물가마저 뜀박질하면 서민들이 감내하기 힘들다.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이 물가 상승 억제의 주요 방편이지만 가계부채 1천조 원 시대에 무작정 금리 인상 카드에 의존할 수도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정부가 물가 관리에 손을 놓고 있을 상황도 아니다. 서민 삶과 직결되는 생활필수품, 농축수산품, 공공서비스 요금에 대해 정부는 비상총력체제를 가동해서라도 물가 상승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